맨위로가기

페르디낭 브륀티에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르디낭 브륀티에르는 19세기 후반 프랑스의 문학 평론가이자 비평가였다. 그는 《르뷔 데 되 몽드》의 편집장을 역임했으며, 고등사범학교와 소르본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했다. 브륀티에르는 17세기 고전주의를 옹호하며, 자연주의, 낭만주의 등 당대의 문학 조류와 대립했다. 그는 드레퓌스 사건에 반대했으며, 1895년 이후 가톨릭으로 개종하여 보수적인 입장을 취했다. 주요 저서로는 《자연주의 소설》, 《고전불문학사》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툴롱 출신 - 질베르 베코
    프랑스 가수이자 작곡가, 배우인 질베르 베코는 니스 음악원 출신으로 레지스탕스 활동 후 작곡을 시작, 에디트 피아프의 발탁으로 데뷔하여 "Le Jour où la pluie viendra", "Et maintenant" 등의 히트곡으로 국제적인 성공을 거두었으며, 오페라 작곡 및 영화 사운드트랙 참여, 독특한 피아노 연주와 남색 물방울 무늬 넥타이로 유명하다.
  • 툴롱 출신 - 미레유 다르크
    프랑스 배우이자 영화 감독인 미레유 다르크는 1960년대부터 활동하며 《주말》 등의 영화와 알랭 들롱과의 공동 출연작으로 인기를 얻었고, 1988년 영화 감독 데뷔 후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수훈했다.
  • 리세 루이르그랑 동문 - 빅토르 위고
    빅토르 위고는 19세기 프랑스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이자 시인으로, 낭만주의 운동을 이끌고 《레 미제라블》 등의 작품을 남겼으며, 정치에도 참여하여 국민적 시인으로 존경받았다.
  • 리세 루이르그랑 동문 - 알랭 바디우
    알랭 바디우는 존재론, 집합론, 정치를 융합한 독자적인 철학 체계를 구축하고 진리, 사건, 주체 등의 개념을 정립하여 서구 민주주의를 비판하고 공산주의를 옹호한 프랑스의 철학자, 수학자, 정치 활동가이다.
  • 프랑스의 문학 평론가 - 미셸 푸코
    미셸 푸코는 프랑스의 철학자, 역사가, 사회학자로서 권력, 지식, 담론 등을 탐구하며 서양 사상과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프랑스의 문학 평론가 - 조르주 뒤아멜
    프랑스의 작가이자 의사인 조르주 뒤아멜은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경험을 바탕으로 전쟁의 참혹함을 고발하고 휴머니즘을 옹호했으며, 연작 소설을 통해 인간의 내면과 삶의 의미를 탐구하고 전체주의와 기계 문명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드러낸 사회 활동에도 적극 참여한 인물이다.
페르디낭 브륀티에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페르디낭 브륀티에르의 초상
본명페르디낭 뱅상드폴 마리 브륀티에르
출생1849년 7월 19일
출생지툴롱
사망1906년 12월 9일
사망지파리
국적프랑스
직업문학 비평가
학력
모교해당 정보 없음
활동
언어프랑스어
분야문학
비평
사상보수주의

2. 생애

페르디낭 브륀티에르는 해군 감찰관의 아들로 태어나, 프로방스와 멀리 떨어진 퐁트네르콩트에서 유년기를 보냈다. 마르세유의 리세 티에르에서 우등생이었던 그는 1869년 고등사범학교 입시에 실패하여, 1870년에는 학원 강사가 되었다. 1875년부터 <르뷔 데 되 몽드>의 편집일을 시작하여, 1877년부터 1893년까지 편집 비서, 1893년에는 국장이 되었다. 1886년 고등사범학교 부교수가 되었고, 1887년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받았다. 이후 소르본 대학교 교수가 되었다.

1893년 6월 8일 아카데미 프랑세즈 회원으로 선출되었고, 1894년 2월 15일 입회를 허락받았다. 1897년 미국으로 강연을 갔으며, 1900년 가톨릭으로 개종했다.

브륀티에르는 17세기 이성주의적 고전주의의 지지자였으며, 동시대 문학 조류들과는 반목하였다. 귀스타브 플로베르, 졸라에 반대하는 기사를 썼고, 1892년에는 샤를 보들레르의 동상을 세우는 계획에 반대했다. 당대의 과학만능주의에도 적대적이였으며, 드레퓌스 사건에서는 반드레퓌스파였으나, 반유대주의자는 아니었다.[5] 다윈의 이론에 영향받은 문학 장르 진화론을 옹호했다.

아카데미 프랑세즈는 1909년 브륀티에르에게 장레노 상을 수여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페르디낭 브륀티에르는 1849년 프로방스 바르주 툴롱에서 해군 감찰관의 아들로 태어났다.[1] 어린 시절은 프로방스와 멀리 떨어진 퐁트네르콩트에서 보냈다. 마르세유의 리세 티에르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고, 파리의 루이르그랑 고등학교에서 공부했다.[1] 고등사범학교 입학을 희망하여 시험을 치렀으나 낙방하였고, 1870년 전쟁 발발로 재응시 기회를 얻지 못했다. 이후 학원 강사로 일했다.

2. 2. 경력

브륀티에르는 1875년부터 저명한 문학 저널인 <르뷔 데 되 몽드>에서 편집일을 시작하여, 1877년부터 1893년까지 편집 비서를 역임했고, 1893년에는 편집장이 되었다.[5] 그는 이 잡지를 통해 자신의 문학 비평과 사상을 널리 알렸다. 1886년, 정규 학위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고등사범학교의 프랑스어 및 문학 교수로 임명되었고,[1] 이후 소르본 대학교 등에서 강의했다. 1887년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받았으며, 1893년에는 아카데미 프랑세즈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1897년, 브륀티에르는 미국으로 강연을 갔다. 1900년에는 가톨릭으로 개종했다.

그는 17세기 이성주의적 고전주의의 지지자였으며, 동시대 문학 조류들과는 가끔은 심할 정도로 반목하였다. 귀스타브 플로베르와 (특히 플로베르의 <세 가지 이야기>에 대하여) 졸라에 반대하는 (<자연주의 소설>에서) 기사를 쓰기도 했으며, 1892년에는 샤를 보들레르의 동상을 세우는 계획에 반대하여 항의하기도 했다.

브륀티에르는 당대의 주류였던 과학만능주의에도 적대적이였는데, 이 때문에 그는 옥타브 미르보같은 무정부주의자의 시대로 더 다가갔다. 반(反)드레퓌스파였으나, 반유대주의자는 아니었던 그는 1886년 <르뷔 데 되 몽드>에서 반유대주의자 에두아르 드뤼몽이 쓴 <프랑스 유대인>을 강하게 반박했다. 1898년 드레퓌스파 지식인들이 자신들의 전문 분야가 아님에도 드레퓌스 문제에 관하여 전공 영역을 벗어나서 논하는 것을 비난했다. 브륀티에르의 친구이자 드레퓌스파이던 플로르 생제는 몇 차례 드레퓌스 사건에 대한 브륀티에르의 입장을 바꾸고자 시도했다.[5]

그는 다윈의 이론에 영향받은 문학 장르 진화론을 옹호하기도 했다.

아카데미 프랑세즈는 1909년 브륀티에르에게 장레노 상을 수여했다.

브륀티에르의 출판물은 대부분 재발행된 논문과 강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도순으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제목연도비고
《비평 연구》(Études critiques)1880–1898프랑스 역사와 문학에 관한 6개의 연작
《자연주의 소설》(Le Roman naturaliste)1883
《역사와 문학》(Histoire et Littérature)1884–18863개 연작
《비평 문제》(Questions de critique)1888, 1890제2 연작
《문학사에서 장르의 진화》(LÉvolution de genres dans lhistoire de la littérature)1890첫 번째 권, 다윈주의에 기반한 형식적 분류가 문학 현상에 적용된 강연 모음
10세기의 프랑스 서정시의 진화에 관한 연구18942권
《학술 담론》(Discours académiques)1901
《투쟁의 담론》(Discours de combat)1900, 1903
《기독교의 사회적 활동》(L'Action sociale du Christianisme)1904
프랑스 고전 문학사1904년 시작
《신앙의 길에서》(Sur les chemins de la croyance)1905
오노레 드 발자크에 대한 단행본1906


2. 3. 개인적 삶과 정치 활동

브륀티에르는 작가 폴 부르제와 가깝게 지냈으며, 1897년에는 미국에서 강연을 하기도 했다. 1900년, 로마 가톨릭교로 개종했다. 드레퓌스 사건에서 반(反) 드레퓌스파의 주요 인물 가운데 한 명이었다.[2] 그는 드레퓌스파 지식인들이 자신들의 전문 분야가 아님에도 이 문제에 관하여 논하는 것을 비난했다.[5] 종교적, 정치적으로 보수적인 입장을 견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3. 사상과 문학 비평

브륀티에르는 찰스 다윈의 진화론에 영향을 받아 문학 장르가 생물학적 유기체처럼 진화한다고 보았다. 그는 문학 작품들을 특정 장르로 분류하고, 각 장르가 시대와 환경에 따라 변화하고 발전한다고 주장했다.[5] 1890년 《문학사에서 장르의 진화》(L'Évolution de genres dans l'histoire de la littérature) 첫 번째 권을 출판하여 이러한 이론을 상세히 전개했다.

그는 프랑스 역사와 문학에 관한 여러 저서를 출판했는데, 《비평 연구》(1880–1898), 《자연주의 소설》(1883), 《역사와 문학》(1884–1886), 《비평 문제》(1888, 제2 연작 1890) 등이 있다.[1] 후기에는 10세기 프랑스 서정시의 진화에 관한 연구 시리즈(2권, 1894), 프랑스 고전 문학사, 오노레 드 발자크에 대한 단행본(1906) 등을 저술했다.[1]

브륀티에르는 1895년 〈바티칸 방문 후〉라는 기사를 발표하며 과학이 사회적 도덕성을 제공할 수 없으며, 오직 신앙만이 이를 가능하게 한다고 주장했다.[3] 이 기사는 "과학의 파산"이라는 비유를 통해 과학만능주의에 대한 비판을 제기하며 큰 논쟁을 불러일으켰다.[4] 이후 그는 로마 가톨릭교로 개종하여 가톨릭 신자로서 정통주의적이고 보수적인 정치적 성향을 보였다.[1]

3. 1. 문학 장르의 진화 이론

찰스 다윈의 진화론에 영향을 받은 브륀티에르는 문학 장르가 생물학적 유기체처럼 진화한다고 주장했다.[5] 그는 문학 작품들을 특정 장르로 분류하고, 각 장르가 시대와 환경에 따라 변화하고 발전한다고 보았다. 1890년 저서 《문학사에서 장르의 진화》(L'Évolution de genres dans l'histoire de la littérature)의 첫 번째 권을 출판하여, 다윈주의에 기반한 형식적 분류를 문학 현상에 적용한 강연들을 모아 이 이론을 상세히 전개했다.

3. 2. 고전주의 옹호

브륀티에르는 논문과 강연을 재발행하여 출판물을 냈다. 프랑스 역사와 문학에 관한 6개의 연작 《비평 연구》(1880–1898), 《자연주의 소설》(1883), 《역사와 문학》 3개 연작(1884–1886), 《비평 문제》(1888, 제2 연작 1890) 등이 있다.[1] 1890년에는 다윈주의에 기반한 형식적 분류를 문학 현상에 적용한 강연을 모은 《문학사에서 장르의 진화》의 첫 번째 권이 출판되었다.[1] 후기 저작으로는 10세기 프랑스 서정시의 진화에 관한 연구 시리즈(2권, 1894), 1904년에 시작된 프랑스 고전 문학사, 오노레 드 발자크에 대한 단행본(1906), 교육, 과학, 종교 문제에 관한 논쟁적인 성격의 여러 팜플렛 등이 있다.[1] 《학술 담론》(1901), 《투쟁의 담론》(1900, 1903), 《기독교의 사회적 활동》(1904), 《신앙의 길에서》(1905) 등이 언급된다.[1]

3. 3. 과학과 종교에 대한 관점

초기에는 자유사상가이자 합리주의자였던 브륀티에르는 1895년 Après une visite au Vatican|바티칸 방문 후프랑스어라는 기사를 발표했다. 이 기사에서 그는 과학이 사회적 도덕성을 제공할 수 없으며, 오직 신앙만이 이를 가능하게 한다고 주장했다.[3] 이 작품은 "과학의 파산"이라는 비유를 통해 과학만능주의에 대한 비판을 제기하며 큰 논쟁을 불러일으켰다.[4]

얼마 지나지 않아 브륀티에르는 로마 가톨릭교로 개종했다. 가톨릭 신자로서 그는 정통주의자였고, 정치적 성향은 보수적이었다. 그는 ''가톨릭 백과사전''에 "부세에 대한 문학적, 신학적 평가"라는 기사를 썼다.[1]

4. 주요 작품

제목출판 연도비고
《Études critiques sur l’histoire de la littérature française프랑스어|프랑스 불문학사에 대한 비판적 연구》1880-19078부작
《Le Roman naturaliste프랑스어|자연주의 소설》1883
《Histoire et littérature프랑스어|역사와 문학》18843부작
《Questions de critique프랑스어|비평의 제문제》1888
《Évolution des genres dans l’histoire de la littérature프랑스어|문학사에서의 장르의 진화》18902부작
《Histoire de la littérature française classique프랑스어|고전불문학사》1891-18924부작
《Évolution de la poésie lyrique en France au dix-neuvième siècle프랑스어|19세기 프랑스 서정시의 진화》1892-18942부작
오노레 드 발자크》(Honoré de Balzac프랑스어)1906
《Discours de combat프랑스어|언쟁》1900-19073부작


참조

[1] 서적 Brunetiere, Ferdinand https://books.google[...] The Catholic Encyclopedia and Its Makers 1917
[2] 간행물 The Religion of Liberal Democracy https://www.tabletma[...] Tablet Magazine 2019-11-15
[3] 서적 The End of the Soul: Scientific Modernity, Atheism and Anthropology in Franc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3
[4] 서적 Einstein and the Generations of Scienc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3-10-08
[5] 서적 브륀티에르를 아십니까? 반드레퓌스주의자와 그의 친구들에 관한 조사Connaissez-vous Brunetière ? Enquête sur un antidreyfusard et ses amis 쇠유 199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